본문 바로가기
UI Theory

[W3_D2] Design Process & Define

by uiuxer 2023. 2. 21.

1. Design Process

** Double diamond

복잡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조화하는 접근 방법

더블다이아몬드

Discover (확산)

- 고객경험 리서치를 통해 문제 수집, 분석 (사용자 경험을 높이기 위해 분석)

 

Define (수렴)

- 아이디어 수렴, 자료분석&디자인 방향 설정 (퍼소나 설정, 고객여정지도, 핵심욕구도출)

 

Develop (확산)

- 해결책 구체화 (세부해결방안 구상) 프로세스 UI설계 (프로토타입제작, 모델개발)

 

Deliver (수렴-적용)

- 모델을 평가하고, 과제를 마무리 짓는 단계

 

 

** Stanford's d.school

Empathize 공감

- 사용자를 관찰, 충족되지 않는 니즈를 발견, 인터뷰

 

Define 정의 

- 수집한 데이터에서 패턴찾기, 사용자에게 가장 의미있는 가치에 대해서 이야기 해야됨 

 

Ideate

- 스케치, 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핑 등 사용해서 아이디어를 만들어 냄

- 특정한 아이디어만 고집하는게 좋지 않다 (넓은 범위에서 아이디어 도출하기)

 

Prototype

- 좋은 아이디어를 따라서 디자인을 진행,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 만들기

 

Test

- 진행한 프로토타입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최고의 해결책인지 검토해보는 단계 

 

Design thinking 은 최선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 고치고 개선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업

 

** Google Design Sprint (5days)

새롭고 신선한 아이디어는 누구에게나 나올 수 있다. (직급체계를 떠나서)

고객을 대상으로 제품을 테스트하고 마감한다 (고객중심의 철학)

Understand

- 비즈니스의 문제점과 기술 능력, 사용자의 요구를 공유하는 단계

- 제품이나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를 최대한 넓히는 것 (전문가 초청해서 듣기)

 

Diverge 발산 

- 팀안에서 세부적으로 그룹을 나눠서 해결책을 모색하는 단계

- 개개인의 서비스의 문제점을 찾는 것이 중요 (큰문제는 나눠서 작은 덩어리로 문제 해결하기)

 

Decide 결정 

- 최상의 아이디어를 선별하는 단계

 

Prototype 

- 디자인툴을 사용해서 시간을 최대한 줄이는 것

 

Validate 

- 시험평가할 사용 최종자 그룹을 선정, 이해관계자들 제품에 대한 평가 시작, 문제점을 발견되면 다시 understand로

 

2. 업무 방식

** Waterfall Model

'기획-디자인-개발-테스트' 하는 단계인데, 과거에 많이 사용했던 방법

시작단계 완성도가 높은 상태

 

** Agile Model

추가요구 사항의 수용 측면에서 자유롭게 추가하고 빼고 변환이 가능함

사용자와 함께 일한다는 개념

개발자와 사용자가 개발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상황을 공유하면서 함께 관심을 가지고 진행

 


Step #1 . WHY 왜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가? 이 디자인을 해야하는가?

- 프로젝트 Goal 

- Communication 

- Meeting

 

Step #2. HOW 본격적인 디자인 프로세스 **

- Desk Reseach 조사분석 & Study

- Direction

- Modelign 

 
Step #3. WHAT 결과물

- Outputs 

- Design file

- Design Concept

- Style Guide 

- Interaction file   etc..

 

HOW

** asis (tobe) 분석 :

asis 현재이야기 & 분석 (tobe 산출물에 대한 것_현재를 개선한 next 방향 설정)

해당 브랜드의 철학, 가치 분석 

 

** GUI SWOT(strength/weakness/opportunity/treat) 내적인면 분석 & ERRC (제거/증가/감소/창조) 서비스의 내외부 환경을 분석  

 


오늘 해가 떴을 때, 업무방으로 들어왔는데 벌써 어둑어둑하다 .. 

강의와 숙제, 스터디만으로 이렇게 시간이 빠르게 가다니. 학생때 이 열정으로 공부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그때못한 열정 지금 쏟는가 보다

디자인 강의듣는데 궁금했던 부분들을 알려주셔서 흥미로웠다 디자인을 제대로 배워보고 싶었는데. 

지금까지는 나의 직감만 믿고 했던 디자인에서 이론이 들어가니까 뭔가 내가 더 성장한 느낌?

끝까지 열심히 들어야지 

 

내일까지 Google Material 3 study part 정한부분 노션에 올리기로 했다

나는 짧은 나의 Part를 다 한줄 알았는데 .. Resource 부분에 더 있는게 아닌가 ?

잘못하면 다른 스터디 팀원들에게 폐를 끼칠뻔했다 .. 나머지 내일 다 마무리 해야지ㅜ

 

팀 프로젝트 미팅이 있는 날이다 저녁에 다 같이 만나서 하기로 했다 

우리팀의 열점.패기.그리고 상콤함 어느 누가 따라갈 수 있을까

우리는 협업 툴인 잔디 어플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고 있는데, 어플이랑 우리팀이랑 뭔가 잘 어울린다 

푸릇푸릇 파릇파릇. 끝까지 시들지 않고 잘해냈으면 좋겠다

 

자소서도 내일까지 써서 제출해야되는데.. 내 인생에 자소서가 없었다 

어떻게 써야할지 막막하지만 그냥 부딪혀서 써보는거지 뭐 

인생 뭐있나 부딪히면 되겠지 

 

오늘도 고생했다 나 자신 

내일도 화이팅 해보자

 

반응형

'UI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W3_D4] 2.Interface Design  (0) 2023.02.23
[W3_D1] Design History + Empathy  (4) 2023.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