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UX Theory13

[W1_D4] 5.Design Concept (디자인컨셉) 1) 디자인 컨셉이란? 1-1) Definition of 'Design Concept' ** 디자인 컨셉이란 스케치,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핵심 아이디어 1-2) Conceptual Design ** 우리가 생각하고 우리가 만들자고 하는 것이 무엇인지 추구하는 방향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것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이상과 현실의 중간점" - 스토리를 기반으로 제품의 방향성을 시각화 -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예상도 (백번의 말보다 한장의 이미지) - 시장(또는 이해관계자)의 반응을 미리 확인 -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예상도 -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아이디어의 시각화 - 표준 등에 대한 위반의 여지는 없는가? - 요구사항은 잘 반영될 수 있나? - 구현이 가능한가? - 디자인 컨셉과.. 2023. 2. 9.
[W1_D4] 4.Persona (퍼소나) 1) 퍼소나 란? ** 우리가 생각하는 서비스 또는 제품의 대표 사용자 (사용자의 시각은 다 다르다) 우리 제품에 대한 일반적인 혹은 타겟 유저에 대한 정의 ** 현실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가상인물을 설정해서 퍼소나 = 대표사용자 1. 우리의 사용자가 누구인지 정의 할 수 있다 (혹여 대상 사용자가 '전체'라 하더라도 우선순위(Primary user)는 반드시 존재한다) 2. 선택과 집중의 기준이 된다 (모든 사용자의 모든 니즈를 만족하는 mega service란 없다_기능과 정보가 너무 많아지면 디자인이 복잡해짐) 3. 디자인 의사결정과 커뮤니케이션에 유용하다 ('왜' 이러한 디자인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된다) 4. 사용자의 마음과 시선에서 생각 할 수 있다 (몰입연기 method act.. 2023. 2. 9.
[W1_D3] 3.모델링 1) 사용자 여정 지도 (User Journey Map) 1-1) User Journey Map 사용자가 과업을 수행하는 동안 하는 행동, 느끼는 감정 그리고, 상호작용하는 접점을 시간순서로 정의한 것 사용자 여정 지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 ** 사용동기 ** 시작 점 ** 행동(Step by step) ** 감정 ** 도구 ** 시간 사용자 여정 지도의 활용 ** 사용자 여정 지도는 사용자 조사 결과를 시퀀셜하게 시각화 함 ** 팀원 및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의 공통된 이해를 도움 ** 디자인 의사결정의 주요 기준이 됨 (퍼소나와 관련있음) ** 기회 요인(Opportunity)과 문제점(Problem)을 도찰할 수 있고 특히 선후관계를 파악할 수 있음 (시간순으로 되어있어서) ** 사.. 2023. 2. 8.
[W1_D2] 2.사용자 조사 1) 사용자 조사 방법? 1-1) 사용자 조사란? A: 목적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조사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드러나는 사용 행태와 비언어적인 요구사항을 도출해내는 조사 제품의 종류나 서비스의 특징에 따라서 얻어야하는 데이터의 종류가 달라짐 속성에 따라서 사용자 조사 방법도 달라지게 된다. 여기서 잠깐, "우리도 어플의 사용자가 될 수 있는데?" 라는 질문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조사를 하는데도 최소 2-3명의 사람이 투입이 되어야 되고, 해야할 일들이 너무 많고 시간이 많이 쏟아야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자라고 해서 SKIP 하면 안된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람이 일반 사용자처럼 물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객관성을 가지고 판단하기 쉽지 않다. 또한, 편향된 조사결과를 갖게될 수 있다... 2023.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