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 사용성 테스트 수행하기
10-1 ) 사용성 테스트 단계별로 알아보기
#Step 1 : 사용성 테스트 문제 정의
무엇에 대해서 테스트를 해야되는지, 누구에게 해야되는지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직접 연관된 사람들을 만나서 인터뷰하기
- 문제의 구조를 분해해라
- 구체적으로 어떻게 데이터를 봐야되는지 고민하기
- 분석하기 전에 고객의 상황을 시뮬레이션 하기
- 고객 행동에 대해 가설을 세우기
** 실수_ 데이터를 반복해서 수집 / 단순한 설문 진행 (깊이 고민x) / 이미 알고 있는 내용 정리
#Step 2 : 사용성 테스트를 위한 데스크 리서치
: 서비스와 관련된 외부상황(트렌드, 시장환경 변화) 부터 서비스의 내부 상황(조직, 협업 구조, 서비스 시스템)까지 다방면으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론
** 최상의 리서치 : 사용자 / 사용자의 환경 / 서비스의 목표 3가지 관점이 겹치는 지점 (최소 2가지 겹쳐지는 지점)
#Step 3 : 사용성 테스트를 위한 이해관계자 인터뷰
: 고객의 실제 문제들을 파악하기 힘들 수 있다.
타 부서로 부터 요청받은 단순 리서치 설계
** 항상 의심해라 : 이해관계자는 솔루션 도출을 위해 빠르게 쉬운해결책을 얻고 싶어할 수 있음. (사용자의 입장에서 잘 의견내는 것이 필요)
이해관계자에게 Issue or task 목록 작성 요청
이슈 논의는 함께 공유하기
우선순위 정하기
기분나쁜 커뮤니케이션은 자제하기
#Step 4 : 사용성 테스트 Task 작성하기
: 각 세부영역 별로 '사용자가 할 수 있어야 하는 Task' 작성하기-수집한 정보에서 문제에 집중-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아이디어 수집-우선순위 정하기
#Step 5 : 리서치 대상자 선별
: 절대 '아무나'는 안됨 (문제에 집중된 사용자)
리서치 참여자 사전동의는 꼭 필요 (법적인 문제)
#Step 6 : 참여자 리크루팅
: 참여자 선별 후 대상자에게 참여 여부 / 리서치 일정 / 리워드 등을 안내
사용성 테스트 진행 시 필요한 준비를 미리 안내 (앱 설치 또는 원격 연결 등)
화면을 함께 보면서(미러링) 전화로 진행하는 경우 이어폰을 준비하도록 함
조용한 장소에서 진행하도록 요청하며, 이동 중 / 운전 중에는 진행이 불가함을 안내
대면으로 진행할 경우에는 조용한 회의실 등에서 주변 소음에 방해 받지 않도록 진행
** 리크루팅 업체에 맡기기도 한다
#Step 7 : 사용성 테스트 진행하기
: 모든 준비가 되었으면 일정에 맞춰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
- 원격으로 진행할 경우 모니터 화면을 녹화하는 프로그램 설치
- 대면으로 진행할 경우 참여자의 반응을 자세히 살피기 위해 녹화장비 준비
- 작성된 Task를 바탕으로 테스트를 수행하고 별도의 인터뷰를 섞어 진행
** 진행자(모더레이터)로서 저지르는 실수
- 투머치 토커X
- 디자인을 설명하지 마라
- 참여자의 질문에 다 대답을 해주지 마라
- 계속 인터뷰 하려고 하지말고 사용성테스트 해라
- 대답 유도X 선호도X
#Step 8 : 결과 정리 및 리뷰
애자일한 사용성 테스트에서는, 각 세션이 끝난 후 발견한 이슈에 대해 짧게 요악을 한다
모든 세션이 끝난 후에는 사용성 테스트에 참관한 사람들에게 브리핑을 한다
빠르게 다음 사용성 테스트를 준비 할 것인지 아니면 깊은 분석을 할 것인지 의사결정을 진행
위 과정이 끝난 이후에는 결과를 분석하여 이후 Action Item 을 도출
별도의 리뷰세션을 통해 결과를 리뷰하고 다음 스텝으로 넘어가기
10-2 ) 리서치 이후에 해야되는 것들
- 다음 리서치 스텝 고려
- 리서치 결과 아카이브
- 참여자 리워드 제공
- 리서치 녹화 및 녹음자료 등 적재
- 유관 부서 이외에도 리서치 결과 공유
- 팀 내 리서치 진행내용 회고
11 ) UX리서처의 포트폴리오
11-1 ) 리서처의 포트폴리오 팁
Soft Skill 과 Hard Skill
** soft skill : 사람들과의 communication
** hard skill : Technical skill
hard skill 물론 중요하지만 soft skill 이 더욱 중요하다_ researcher 부분으로 지원을 한다면!
** 리서처로 첫 시작을 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 신입 또는 주니어의 경우 실무에서 실제 고객을 대상으로 리서치를 한 경험이 적다는 것을 앎
- 때문에 학교 과제나 사이드 프로젝트 등에서 실제 리서치를 설계/진행/분석을 해본 경험이 중요
- 혼자서 프로젝트의 리서치 과정을 다 진행해본 경험을 정말 좋음
- 스스로 과제를 만들거나, 재능 기부 같은 것들의 기회를 활용해 볼 수 있음 (자선 단체, 비영리단체)
- 대학원가지 않아도 됨
** 리서처의 포트폴리오는 결과 보다는 과정이 중요하다
- 진행한 프로젝트의 결과를 보여주기보다, 과정이 어떻게 수행되었는지가 더 중요
- 문제 정의가 어떤 과정을 거쳐 도출되었는지 보여져야 함
- 프로젝트에 사용했던 리서치 방법론을 고른 이유가 명확하고 근거가 있어야 함
- 단순히 표면적인 리서치 결과로 끝나는게 아니라 Action Item 으로 연결되어야 함
-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하는 것이 좋음
- 포트폴리오를 보는 사람을 사용자라고 생각하고 작성하라 (디자인적인 요소에 너무 집중하지 마라)
** 보여지는 것에만 집중하지 마라
-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강조해서 보여주려 하지마라
리서처는 화면을 디자인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을 디자인 하는 사람이다
도출된 디자인은 리서치 결과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보여져야 한다
- 커뮤니케이션 스킬 (Soft skill) 이 좋은 것이 좀 더 중요
면접 대답이 맥락에 맞는가. 팀플레이에 유용한 사람인가
- 포트폴리오에서 사용하는 단어와 문맥, 심지어 오타 하나까지 신경쓰는 사람도 있음
일주일 동안 열심히 달려와서 그런지 오늘은 좀 널널한 스케쥴이다
To do list 에도 숙제보단 집안일이 더 많다
일주일 동안 소홀했던 집안일을 좀 해야겠다
다음주에는 그룹프로젝트 일정이 엄청나던데, 미리 어떻게 해야될지 브레인스토밍 해야 할 수 있을 듯하다
이렇게 좀 쉬는 날도 있어야 달려가지 않겠나
오랜만에 공부하니까 굳어졌던 머리가 다시 깨어나는 느낌이라서 좋다
일주일 수고했다 나 자신, 다음주도 잘 달려보자
'UX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W2_D4] UX 이론 Chapter 9. 사용성 테스트 알아보기 (0) | 2023.02.16 |
---|---|
[W2_D3] UX 이론 Chapter.7-8 + 학습일지 (0) | 2023.02.15 |
[W2_D2] UX 이론 Chapter.3-6 + 학습일지 (0) | 2023.02.14 |
[W2_D1] 1.UX&UX Researcher & 2.리서치에 대한 마음가짐 (0) | 2023.02.13 |
[W1_D6] 8.UX 디자이너 되기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