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UI33

[W1_D6] 7.디자인 평가 및 테스트 1 ) 프로토 타입 1-1 ) 프로토 타입이란? ** 미리 만들어 보는 것 말은 상대방이 어떻게 듣는지에 따라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러프하게 이미지로 만들어보는 것 ?프로토 타입은 왜 필요할까? Test early, Test often! 최대한 빨리 자주 수집하고, 고쳐야 될 것을 빨리 도출해서 다시 개선하기 위해서 프로토타입은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Tool이다 Lean project에도 프로토 타입은 너무 유용한 툴이다 ** Lo-fi prototype No time + Early stage = Concept evaluation 시간이 없거나, 재정이 부족하거나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일 때 기본적인 UI 와 컨셉 도출을 위해서 ( 실제에 가깝다기 보다는 누가봐도 프로토 타입이라고 생각할 정도 ) 장점: .. 2023. 2. 11.
[W1_D5] 6.인터렉션 디자인 1 ) 인터페이스 디자인 (UI 컴포넌트와 레이아웃) 1-1 ) 인터페이스 디자인이란 ? User Interface Design = User Interaction Design ** 사용자가 시스템을 통해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조작하는 영역 ?어떻게 시스템과 대화하는가? 시스템에게 말을 걸기위한 상호간에 이해되는 언어를 만들어야 된다 ** DOS의 시대: 컴퓨터의 언어 예전에는 모든것을 다 키보드를 통해서 시스템과 대화를 할 수 있었다. 사용하기 어려워서 전문가들 영역이였다. **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탄생: 사용자의 언어 사용자가 눈으로 보고 이해하고, 마우스를 이용해서 클릭(더블클릭) 등으로 시스템에서 명령할 수 있다. (UI component 위에 보기에 좀 더 예쁘.. 2023. 2. 10.
[W1_D4] 5.Design Concept (디자인컨셉) 1) 디자인 컨셉이란? 1-1) Definition of 'Design Concept' ** 디자인 컨셉이란 스케치,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핵심 아이디어 1-2) Conceptual Design ** 우리가 생각하고 우리가 만들자고 하는 것이 무엇인지 추구하는 방향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것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이상과 현실의 중간점" - 스토리를 기반으로 제품의 방향성을 시각화 -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예상도 (백번의 말보다 한장의 이미지) - 시장(또는 이해관계자)의 반응을 미리 확인 -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예상도 -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아이디어의 시각화 - 표준 등에 대한 위반의 여지는 없는가? - 요구사항은 잘 반영될 수 있나? - 구현이 가능한가? - 디자인 컨셉과.. 2023. 2. 9.
[W1_D4] 4.Persona (퍼소나) 1) 퍼소나 란? ** 우리가 생각하는 서비스 또는 제품의 대표 사용자 (사용자의 시각은 다 다르다) 우리 제품에 대한 일반적인 혹은 타겟 유저에 대한 정의 ** 현실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가상인물을 설정해서 퍼소나 = 대표사용자 1. 우리의 사용자가 누구인지 정의 할 수 있다 (혹여 대상 사용자가 '전체'라 하더라도 우선순위(Primary user)는 반드시 존재한다) 2. 선택과 집중의 기준이 된다 (모든 사용자의 모든 니즈를 만족하는 mega service란 없다_기능과 정보가 너무 많아지면 디자인이 복잡해짐) 3. 디자인 의사결정과 커뮤니케이션에 유용하다 ('왜' 이러한 디자인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된다) 4. 사용자의 마음과 시선에서 생각 할 수 있다 (몰입연기 method act.. 2023. 2. 9.